본문바로가기
학문 간 경계를 넘어선 항공우주 특성화 교육, 연구
미래 유망산업인 항공 기술과 항공 서비스를 항공우주특성화 교육 분야로 선정하여 사회가 원하는 맞춤형 인재를 양성합니다.
첨단 기술이 융합, 복합된 항공우주분야를 발전시킬 수 있도록 6대 항공우주특성화 연구 분야를 선정해 전략적으로 지원합니다.
항공우주 특성화 교육 분야
AI: 스마트드론, 자율주행
항공우주기술: 인공위성, UAM, MRO
항공서비스: 항공경영, 물류, 조종, 관제
항공우주 특성화 연구 분야
드론, UAM, 반도체, AI자율주행, 항공운송, 항공우주기술
실무중심교육의 교육, 취업률로 이어지다
항공우주특성화 대학으로서의 실무중심교육, 대학일자리센터의 체계적인 취업 원스톱서비스가 더해져 취업률과 유지취업률이 고루 높게 나타납니다.
취업률: 2021년 62.4%, 2022년 67.1%, 2023년 72.5%
유지 취업률: 2021년 88.6%, 2022년 90.6%, 2023년 90.9%
글로벌 항공우주 기업과의 활발한 파트너십
학생들의 시야를 세계로 넓혀주기 위해 매년 글로벌 항공우주기업 임직원과 함께 하는 산학협력 프로그램을 실시합니다. 참여학생에게는 해외탐방기회와 장학금이 제공됩니다.
A foundation of innovation, 보잉-보잉데이: 항공우주분야의 미래를 바꿀 혁신적인 생각을 찾는 아이디어 공모전
Air Transportation innovation, 에어버스-AIRBUS101: 전공지식을 활용해 나만의 작품을 설계, 구현해보는 대회
Aerospace + STEM = ASTEM, 록히드마틴-팔콘챌린저: 한국항공대학교 학생들과 지역 고등학생들이 팀을 이뤄 진행하는 STEM(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Mathematics) 교육 프로그램
글로벌 항공우주 산합력력 프로그램 참가인원: 2023년 583명, 2022년 568명, 2021년 481명, 2020년 578명
지속가능한 지역사회를 위한 KAU-지역동행프로젝트
한국항공대학교는 지역사회와의 상생과 동반 성장을 위해 ‘KAU-지역동행프로젝트’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대학의 전문성과 인프라, 학생들의 창의적 전공 역량을 바탕으로 지역사회 현안 해결에 기여하며, 지속가능한 대학-지역 발전의 새로운 모델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지식과 혁신의 ‘동행’: 과학기술, 지식 공유 / 우주·항공·천문·자동차 특화 교육 관광 콘텐츠 개발, 지역민 대상 교육 및 체험 프로그램 제공
공간과 연결의 ‘동행’: 지역 인프라 혁신 / 한국항공대역 인프라 개선 프로젝트, 지역 활성화를 위한 공간 혁신, 캠퍼스-지역 연결 플랫폼 조성
공감과 이해의 ‘동행’: 미래 가치 실현 / 기후 위기 대응 및 환경 보전, 역사·문화·생태·관광 융합 지역 축제 및 프로그램 협력

전체

공지

공지 게시판으로

학사

학사 게시판으로

행사

행사 게시판으로

모집/채용

모집·채용 게시판으로

입찰

입찰 게시판으로

산학/연구

산학·연구 게시판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