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항대생활
KAU광장
  • 항대생활
  • KAU광장
  • 공지사항
  • 산학/연구

KAU광장 산학/연구 상세

지식경제부 공고 제2013-103호

2013년도 광역경제권선도산업육성사업 지원 계획 공고

기업, 대학, 연구소 등이 서로 협력하여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유망제품을 개발함으로써, 기업 등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지역에 좋은 일자리를 만들기 위해 「광역경제권선도산업육성사업」지원내용을안내하오니 관심있는 기업·기관들의 많은 참여를 바랍니다.

2013년 3월 21일

지식경제부장관

◎ 사업목적
· 광역경제권별로 기업, 대학, 연구소가 서로 협력하여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유망제품을 개발함으로써 기업의 고용·매출을 확대시키고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

◎ 지원금액 : 260억원 내외
* 프로젝트별 지원규모(과제별 지원액 및 지원과제수)는 프로젝트 연차평가(’13.5월예정) 결과에 따라 조정될 수 있음

◎ 지원분야 : (40개 프로젝트)
· 2단계 사업기간내(’12.5∼‘15.4) 광역선도사업 최종 성과목표(고용, 매출 및 수출) 달성을 위해, ’12년 지원과제 중 일부 과제를 대체하기 위해 선정 지원

권역 프로젝트 권역 프로젝트
충청 차세대의약, 이차전지, 태양광(부품), 나노융합소재(화학소재기반), 신호처리융합기기, 반도체, 디스플레이, 동력기반 기계부품 동남 풍력부품, 원전설비, 화학융합소재, 지능형 기계부품, 친환경 차량부품, 항공, 해양플랜트 기자재, 그린선박 조선기자재
호남 태양광(소재), 풍력시스템·모듈, 바이오식품, 바이오 활성소재, 광부품 및 시스템, 신광원조명, 친환경 차량 및 부품, 그린·레저선박 강원 세라믹/비철소재부품, 의생명바이오, 전자의료기기, 헬스테인먼트
대경 태양광(장비), 연료전지, 의료기기(치료/헬스케어기기), 실용로봇, 스마트 자동차부품, 스마트 모바일, 첨단 금속·세라믹소재, 하이테크 섬유소재 제주 제주형 풍력서비스, 청정헬스푸드, 뷰티향장, 휴양형 MICE

* 세부지원내용은 한국산업기술진흥원 및 광역경제권별 지역사업평가원(www.leading.or.kr) 홈페이지 참조

◎ 지원내용
ㅇ 기술개발과제(자유공모) : 프로젝트별 유망품목 관련 기술개발에 필요한 연구개발 자금을 신규 인력 채용을 조건으로 지원(고용창출형 R&D, 채용조건부 R&D)
· 2년 이내 사업화를 통해 기업의 일자리 창출 및 매출, 수출의 확대가 가능한 과제
· 산학연 공동 컨소시엄, 대-중소기업(중소기업 주관 우선) 공동 컨소시엄 우대
* 유망품목: 시장에서 거래가 가능한 완제품과 부품을 포함하는 유형의 제품과 무형의 서비스 상품을 통칭(한국산업기술진흥원(www.kiat.or.kr) 홈페이지에 게시된 공고문 참조)
* 자유공모 : 프로젝트 내 유망품목별로 지원자가 자유롭게 과제 신청

ㅇ 비R&D과제*(자유공모) : 프로젝트별 유망품목 관련 상품/서비스에 활용되는 비즈니스 모델, 서비스 전달체계 구축을 통해 유/무형의 상품/서비스 개발
· 2년 이내 사업화를 통해 일자리 창출, 매출 및 수출의 확대가 가능한 과제
* 강원권 헬스테인먼트 및 제주권 휴양형 MICE 프로젝트에 해당


◎ 총 지원기간 : 23개월 이내
* 당해년도 사업기간 : ‘13. 6 ~ ’14. 4 (11개월 예정)

1. 지원유형

가. 기술개발과제(R&D)


□ 지원개요

구분

중형

소형

국비(1년기준)

10억 이내

3억 이내

주관기관
자격조건

최근 2년 중 매출액 50억 이상
또는 최근 3년 이내 신청금액 이상의국가R&D 수행기업
※강원·제주는 제한 없음

제한없음

· 기업부설연구소 보유기업(산업기술진흥협회 등록 기준)
· 창업 후 1년 이상, 채용계획서 의무 제출

사업기간

2년 이내

추진방식

주관기관은 기업으로 하며, 기업의 단독 참여는 불가
(대학, 연구소 등 비영리기관의 단독 참여 불가)

기술료

징수(정액기술료)

참여범위

광역경제권역 시·도(권역별 산업특성에 따라 별도로 정할 수 있음)

지방비 매칭

없음



□ 지원유형 : 고용창출형 R&D 및 채용조건부 R&D로 지원

고용창출형 R&D

채용조건부 R&D

지원조건

· 연평균 국비 지원액 대비 2억당 1명 이상 신규채용
* 총 사업기간 종료 6개월 전까지 채용 필수
* 채용후 6개월 이상 고용 유지시 인정
* 위반시 지원금액 회수

· 과제별 연평균 국비지원액 대비 1억당 1명 이상 신규 채용
* 1차년도 협약 후 1차년도 종료시
(’14. 4. 30)까지 고용계약 체결 필수
* 채용후 12개월 이상 고용 유지시 인정
* 위반시 지원금액 회수
* 채용인력은 과제 참여 필수

채용주체

과제 참여 기업 전체

과제 참여기업 중 중소 및 중견기업

채용분야

· 연구직, 생산(관리)직
* 행정직 인력(인사, 총무, 회계) 제외

· 연구직

채용대상

· 전문학사 이상

· 석·박사 과정 이상(Post-Doc., 미취업자 포함)

지원기간

2년 이내(사업기간 이내)

특례사항

· 신규 참여연구원의 인건비 비중이 수행기관 전체 인건비의 30%이상일 경우 해당 금액만큼 기존참여인력에 대해 현금 인건비 지원 가능(중소기업에 한함)

※ 기술개발과제에 참여하는 기업이 전문학사 이하, 마이스터고, 특성화고 졸업자를 채용할 경우, 인력양성사업을 통해 월 100만원까지 채용장려금을 지원

□ 추진체계 : 기업이 주도하는 컨소시엄(기업 단독참여 불가)

ㅇ 주관기관
· 「부가가치세법」 제4조에 따라 해당 광역경제권에 사업장(본사, 공장, 연구소 중 1개)을 보유하고 있으며, 접수마감일 현재 창업한지 1년 이상인 기업(법인사업자에 한함)
* 다만, 해당 광역경제권내 연구소만을 보유한 경우에는, 사업기간내에 주된 사업장(본사 또는 공장)의 이전 또는 신설을 조건으로 참여 가능

ㅇ 참여기관
· 해당 광역경제권 및 다른 광역경제권(수도권 포함)에 소재하고 있으며, 접수마감일 현재 창업한지 1년 이상인 기업 또는 비영리 법인*
* 대학, 연구소, TP(특화센터), 기타 비영리전문기관 등

□ 민간부담금 : 참여기업 구성에 따라 민감부담비율 적용

참여기업 수

참여기업 구성

정부출연금 지원비율

민간부담금 현금비율

1개

중소기업 또는 중견기업

연도별 사업비의 75% 이하

연도별 민간부담금(현금+현물)의 10% 이상

2개 이상

2개 이상 중소기업 또는
중견기업 2/3 이상

연도별 사업비의 75% 이하

연도별 민간부담금(현금+현물)의 10% 이상

중소·중견기업
혼합비율 2/3 이상

연도별 사업비의 75% 이하

연도별 민간부담금(현금+현물)의 10% 이상

그 밖의 경우

연도별 사업비의 50% 이하

연도별 민간부담금(현금+현물)의 20% 이상

ㅇ 대기업은 중소·중견기업의 참여형태 및 구성비율과 관계없이 해당기업의 사업비 중 정부출연금 비율을 총사업비의 50%이하,
민간부담금 현금부담기준을 민간부담금의 20%이상으로 함
· 동일과제에 2개 이상의 대기업이 참여하는 경우에도 동일기준 적용

□ 기술료 : 실시기업 유형에 따라 정액기술료 징수

실시기업 유형

정액기술료

대 기 업

정부출연금의 40%

중견기업

정부출연금의 30%

중소기업

정부출연금의 10%


□ 지원대상과제 및 조건 : 한국산업기술진흥원 및 광역경제권별 지역사업평가원 홈페이지 참조


나. 비R&D 과제


□ 추진체계 : 비영리기관이 주도하는 컨소시엄

ㅇ 주관기관
· 프로젝트별 유망품목 관련 유/무형의 상품 서비스 개발을 추진할 수 있는 해당 광역경제권역내에 소재하는 전문기관(비영리기관)


ㅇ 참여기관
· 프로젝트별 유망품목 관련 유/무형의 상품 서비스 개발을 추진할 수 있는 해당 광역경제권역내 또는 다른 광역경제권에(수도권 포함) 소재하는 전문기관(영리 또는 비영리기관)

□ 지원대상과제 및 조건 : 한국산업기술진흥원 및 광역경제권별 지역사업평가원 홈페이지 참조

2. 평가기준 및 우대사항

가. 기술개발과제(R&D)

□ 평가기준

평가항목

세부 항목

지표

기술개발
계획

ㅇ 사전 기획 및 추진의지

· 외부자원 활용정도
· 대표이사의 추진의지
· 참여기관간 사전협력 정도

ㅇ 기술개발 개요

· 사업목적과의 부합성
· 기술적 해결방법의 타당성

ㅇ 추진체계

· 기관구성의 적정성
· 기관간 명확한 역할분담

ㅇ 연구자원

· 기술개발팀의 능력·구성

ㅇ 최종목표·연차별 내용

· 도전적 목표 여부
· 연차별 추진계획 및 내용의 타당성

사업화 계획

기대효과

ㅇ 사업화 계획

· 사업화 관련 전문가 참여
· 사업화 단계 진입 가능성 및 수준

ㅇ 고용효과

· 고용효과의 우수성

ㅇ 기대효과

· 신규시장 창출, 매출, 수입대체 등 효과

사업비

ㅇ 사업비 편성

· 사업비 편성의 적정성



□ 평가방법

ㅇ 접수과제의 제출서류, 신청자격 등 형식요건에 대한 사전검토 후 현장실태조사 및 발표평가 실시

ㅇ 발표평가는 질의응답 중심으로 진행되며, 광역경제권별로 평가일정이 달라질 수 있음
* 진행방법(예): 핵심내용 위주로 PPT 10페이지 이내로 발표 분량 제한 (발표 10분, Q&A 35분)
☞ 광역경제권선도산업육성사업 기술개발사업 발표자료 샘플(한국산업기술진흥원 홈페이지 참조)


□ 우대사항 등

ㅇ 채용조건부 R&D 지원과제로 지원할 경우 가산점 부여 (3점)

ㅇ 산학협력협의회*를 통해 도출된 산학연 공동 컨소시엄으로 지원할 경우 가산점 부여 (2점)
* 산학협력협의회는 권역별 지역사업평가원, LINC사업단, TP, 기업 등이 참여하여 산학협력 프로그램 개발·지원, 현장애로기술 해결 등을 수행

ㅇ 기업, 대학, 연구소, 기업지원기관 등이 서로 협력하는 산학연 공동 컨소시엄 우대

ㅇ 기업별 장점을 살려 소재-부품-완성품으로 이어지는 대·중소기업 협력 컨소시엄 우대


나. 비R&D 과제

□ 평가기준

평가항목

세부 항목

지표

기업
지원능력

수행기관의
의지 및 인프라

· 기업지원 시설 및 인프라 구축 정도

· 총괄 책임자·참여인력의 전문성 및 지원능력

추진전략

· 기업지원 추진 전략 및 체계의 적정성

· 기업지원 계획의 구체성과 명확성

· 지원방법의 타당성

협력관계

· 기관간 역할분담 및 관리능력

기대효과

기술개발 기여

· 기술개발 파급효과 기여도

정책목표 기여

· 광역경제권 산업생태계 조성 기여도
· 생산액, 매출, 수출, 고용 등 효과발생 기여도

사업비

사업비 편성

· 사업비 편성의 적정성



□ 평가방법

ㅇ 접수과제의 제출서류, 신청자격 등 형식요건에 대한 사전검토 후 현장실태조사 및 발표평가 실시

ㅇ 발표평가는 질의응답 중심으로 진행되며, 광역경제권별로 평가일정이 달라질 수 있음


다. 유의사항

□ 계획서 작성 및 신청서 제출시 지역산업지원사업 평가관리지침(9. 신규평가 가. 사전검토)을 반드시 참고·검토하여 제출(한국산업기술진흥원 홈페이지 참조)

3. 평가절차 및 일정

[지식경제부]

l← [권역별 지역사업평가원] →l

공고

사업계획서
접수

평가위원회개최
(현장실사·평가)

결과통보 및
이의신청 처리

협약체결 및
사업비지급

3. 21~4. 26

4. 22~4. 26

5. 2~5. 16

5. 20~5. 31

6.1~


※ 상기 일정은 지역사업평가원별로 달라질 수 있음

4. 신청기간 및 신청방법

□ 신청기간

ㅇ 온라인 접수기간 : ‘13. 4. 22(월)09:00 ~ ’13. 4. 26(금)18:00까지

ㅇ 신청서류 제출기간 : ‘13. 4. 22(월)13:00 ~ ’13. 4. 26(금)18:00까지


□ 신청방법

ㅇ 신청방법 : 인터넷 등록(전산등록 및 접수증 출력) → 신청서류 제출(인편)
· 사업신청 시 제출서류(기존14종→5종) 및 사업계획서 간소화(기존 22개 세부항목→11개 세부항목) 적용
☞ 광역경제권선도산업육성사업 기술개발사업 사업계획서 양식 및 샘플(한국산업기술진흥원 홈페이지 참조)
☞ 광역경제권선도산업육성사업 전산입력매뉴얼(한국산업기술진흥원 홈페이지 참조)

ㅇ 온라인 접수처 : http://www.ritis.or.kr
전산 등록마감일에는 전산폭주로 인하여 접수가 지연되거나 장애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사전 접수 권장
※ 전산등록기간에 등록을 완료(전산접수증 출력)하지 않은 과제는 신청서 접수 불가
※ 전산접수가능 용량은 60MB 임

ㅇ 온라인 문의처 : 02-6009-4374, 4379

ㅇ 신청서류 교부 : 한국산업기술진흥원(www.kiat.or.kr) 홈페이지(사업공고) 또는 광역경제권별 지역사업평가원 홈페이지(아래 참조)에서 다운로드

ㅇ 제출처 : 광역경제권 지역사업평가원에 인편 또는 우편으로 제출
(접수마감일 18시까지 도착분에 한하여 접수)

ㅇ 제출된 서류는 일체 반환하지 않음

5. 관련 법령

□ 지원근거 : 「국가균형발전특별법」 제11조(지역산업육성 등 지역경제 활성화 촉진)

□ 관련규정

☞ 지역산업지원사업 공통운영요령
☞ 기술료 징수 및 사용 관리에 관한 통합요령
☞ 지식경제 기술혁신사업 사업비 산정 관리 및 사용 정산에 관한 요령
☞ 지식경제 기술혁신사업 보안관리요령
☞ 지식경제 기술혁신사업 연구윤리 진실성 확보 등에 관한 요령
☞ 지역산업지원사업 평가관리지침(기술개발, 기반조성, 기업지원)

6. 접수 및 문의처

□ 접수 및 문의처 : 권역별 지역사업평가원

권 역

기관명

문의전화

주 소

충청권

충청지역사업평가원

광역사업평가단

(http://cclio.leading.or.kr)

042-934-8317,
6196, 8378, 8375

대전광역시 유성구 도룡동
386-2 대덕테크비즈센터 801호

호남권

호남지역사업평가원

광역사업평가단

(http://honam.leading.or.kr)

062-602-7164,
7156, 7169,7162

광주광역시 북구 첨단3길 107
광주테크노파크 4층

대경권

대경지역사업평가원

광역사업평가단

(http://dglio.leading.or.kr)

053-818-9507,
9513, 9515, 9517,
9518, 9548, 9543

경상북도 경산시 삼풍동 27
경북TP 글로벌벤처동 4층 2403호

동남권

동남지역사업평가원

광역사업평가단

(http://dlio.leading.or.kr)

051-629-7693,
7592, 7597, 7582

부산광역시 남구 용당동 산100번지
부경대학교 한미르관 4층

강원권

강원지역사업평가원

광역사업평가단

(http://gw.leading.or.kr)

033-248-5684,
5686

강원도 춘천시 신북읍 율문리
946번지(신북로 61-10번지)

제주권

제주지역사업평가원

광역사업평가단

(http://jeju.leading.or.kr)

064-759-7422,
7427, 7423, 7433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첨단로 213-3
첨단과학기술단지 스마트빌딩 420호

※ 정부조직개편에 따라 지식경제부가 산업통상자원부로 부처 명칭이 변경 예정임.

권역별 세부 공고내용 및 지원과제 현황

1. 충청광역경제권 선도산업육성사업 지원안내

◎ 사업목적
ㆍ(의약바이오) 지속 성장형 의약바이오 산업 성장 동력 창출
ㆍ(차세대 에너지) 미래 성장 동력 창출을 위한 에너지 변환 및 저장 부품 소재의 고품위화
ㆍ(융합전자기기) 융합전자기기 산업생태계 활성화를 통한 스마트 디바이스 스타 브랜드 창출
ㆍ(융합기계부품) 융합기계부품 산업의 고부가가치 달성을 통한 제품 경쟁력 확보 및 융합부품산업 생태계 완성

가. 기술개발과제(R&D)

□ 지원대상 과제

ㅇ 지원대상 과제는 [별표] “충청 광역경제권 선도산업 육성사업 지원과제 ” 목록 참조


□ 지원규모 및 기간

ㅇ 2013년도 지원규모 : 약 52억원
· 프로젝트별 지원규모(과제별 지원액 및 지원과제수)는 프로젝트 연차평가(’13.5월예정) 결과에 따라 조정될 수 있음

ㅇ 총 지원기간 : 23개월 이내 (‘13년 6월 ~ ’15년 4월)


나. 문의 및 제출처 (충청지역사업평가원)

지원분야 (선도산업별)

문의전화

주 소

의약바이오 042-934-8371 대전광역시 유성구
도룡동 386-2
대덕테크비즈센터 801호
차세대 에너지 042-934-6196
융합전자기기 042-934-8378
융합기계부품 042-934-8375
[별표]
충청광역경제권 선도산업 육성사업 지원과제
[기술개발과제]

□ 기술개발과제 (R&D_자유공모)

프로젝트명

유망품목

당해연도 총 지원규모

차세대의약

ㅇ 생물의약품 (전임상, 임상)
ㅇ 합성의약품 (전임상, 임상)
ㅇ 인허가가 필요한 의약바이오 소재
ㅇ 인허가가 필요한 동물의약품
* 과제 신청 시 예비조사표/Gate system
자료 제출 요망 (양식 별첨)

ㅇ 총10억원 내외
· 과제당 5억원 내외
· 중, 소형과제

이차전지

ㅇ 이차전지 구성소재
ㅇ 단위 셀 및 시스템 구성부품

ㅇ 총 7억원 내외
· 과제당3~ 5억원 내외
· 중, 소형과제

태양광(부품)

ㅇ 셀/모듈 구성부품
ㅇ 시스템/설치 구성부품

ㅇ 총 6억원 내외
· 과제당 3~5억원 내외
· 중, 소형과제

나노융합소재

ㅇ 나노코팅
ㅇ 고기능 멤브레인
ㅇ 나노정밀화학제

ㅇ 총 5억원 내외
· 과제당 3~5억원 내외
· 중, 소형과제

신호처리융합기기

ㅇ 신호교환융합기기
ㅇ 근거리신호전달 시스템
ㅇ RFID/USN시스템
ㅇ 차량/선박용 신호처리기기
ㅇ 원격계측시스템

ㅇ 총 7억원 내외
· 과제당 3~5억원 내외
· 중, 소형과제

반도체

ㅇ 시스템 반도체
ㅇ 화합물 반도체
ㅇ 반도체 장비

ㅇ 총 6억원 내외
· 과제당 3~5억원 내외
· 중, 소형과제

디스플레이

ㅇ 차세대 디스플레이
ㅇ 디스플레이용 부품·모듈
ㅇ 디스플레이 제조장비
ㅇ OLED

ㅇ 총 5억원 내외
· 과제당 3~5억원 내외
· 중, 소형과제

동력기반기계부품

ㅇ 제어부품 및 기기
ㅇ 자동화 모듈 및 시스템
ㅇ 시트 및 능동공조 부품

ㅇ 총 6억원 이내
· 과제당 3~5억원 내외
· 중, 소형과제

2. 호남광역경제권 선도산업육성사업 지원안내

◎ 사업목적
ㆍ (신재생에너지) 호남광역경제권 신재생에너지(태양광, 풍력)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확보 및 허브구축
ㆍ (라이프케어) 차세대 라이프케어(바이오식품 및 바이오활성소재) 산업의 고도화 및 미래형 글로벌 거점 육성
ㆍ (광융·복합) 광융·복합(광부품 및 시스템, 신광원조명)산업 구조 고도화 및 글로벌 생산거점 육성
ㆍ (친환경수송기계) 호남광역경제권 친환경수송기계(친환경 차량 및 부품, 그린·레저 선박) 산업기반 육성 및 선도기지 구축

가. 기술개발과제(R&D)

□ 지원대상 과제

ㅇ 지원대상 과제는 [별표] “호남 광역경제권 선도산업 육성사업 지원과제” 목록 참조

□ 지원규모 및 기간

ㅇ 지원규모(‘13년) : 약 58억원
· 프로젝트별 지원규모(과제별 지원액 및 지원과제수)는 프로젝트 연차평가(’13.5월예정) 결과에 따라 조정될 수 있음

ㅇ 총 지원기간 : 23개월 이내 (‘13년 6월 ~ ’15년 4월)

나. 문의 및 제출처 (호남지역사업평가원)

지원분야 (선도산업별)

문의전화

주 소

신재생에너지 062-602-7164 광주광역시 북구
첨단3길 107
광주테크노파크 4층
라이프케어 062-602-7156
광융·복합 062-602-7169
친환경수송기계 062-602-7162
[별표]
호남광역경제권 선도산업 육성사업 지원과제
[기술개발과제]

□ 기술개발과제 (R&D_자유공모)

프로젝트명

유망품목

지원규모

태양광(소재)

ㅇ 실리콘 잉곳 및 웨이퍼 소재
ㅇ 결정질 태양전지/모듈 소재
ㅇ 박막 태양전지/모듈 소재

ㅇ 총 9억원 내외
· 중, 소형과제

풍력시스템·모듈

ㅇ 풍력발전 단기상용화 핵심소재· 부품
ㅇ 풍력발전 모듈 및 시스템 개발·제조
ㅇ 풍력발전 시스템 시험평가·엔지니어링

ㅇ 총 6억원 내외
· 중, 소형과제

바이오활성소재

ㅇ 천연물 친환경 생명소재
ㅇ 바이오메디컬 활성 소재
ㅇ 해양바이오 소재

ㅇ 총 6억원 내외
· 과제당 3억원 이내
· 소형과제

바이오식품

ㅇ 미생물 응용식품
ㅇ 웰빙발효 식품
ㅇ 라이프케어 기능성 식품

ㅇ 총 5억원 내외
· 과제당 3억원 이내
· 소형과제

광부품 및 시스템

ㅇ 광응용 센서 및 통신시스템
ㅇ 광융합 부품 및 기기

ㅇ 총 8억원 내외
· 과제당 3억원 내외
· 중, 소형과제

신광원조명

ㅇ 일반/산업용 조명
ㅇ 융·복합 조명

ㅇ 총 7억원 내외
· 과제당 3억원 내외
· 중, 소형과제

친환경 차량
및 부품

ㅇ 디젤차량용 전장부품
ㅇ 디젤차량용 새시 및 차체부품
ㅇ e-mobility 관련 부품
ㅇ 변속 및 구동시스템
ㅇ 전동식 보기류 및 새시 부품
ㅇ 충전시스템 및 전지팩 부품

ㅇ 총 9억원 내외
· 중, 소형과제

그린·레저선박

ㅇ 중소형선박 추진 및 발전 시스템
ㅇ 중소형선박 운항·안전관리 시스템
ㅇ 인간감성 및 쾌적성 향상 내·외장부품
ㅇ 고속선박부품
ㅇ 레저선박 선체·부품

ㅇ 총 8억원 내외
· 중, 소형과제


3. 대경광역경제권 선도산업 육성사업 지원안내
◎ 사업목적
ㆍ (그린에너지) 대경권 그린에너지 유망품목별 생산거점 구축
ㆍ (로봇·의료 융복합) 로봇·의료기기산업 글로벌 클러스터 육성
ㆍ (스마트기기·부품) 스마트 기기부품산업 글로벌 첨단기술 선도
ㆍ (첨단융합소재) 첨단융합소재 기반의 부품소재 산업 고부가가치화 달성

가. 기술개발과제(R&D)

□ 지원대상 과제

ㅇ 지원대상 과제는 [별표] “대경 광역경제권 선도산업 육성사업 지원과제 ” 목록 참조

□ 지원규모 및 기간

ㅇ 지원규모(‘13년) : 약 52억원
· 프로젝트별 지원규모(과제별 지원액 및 지원과제수)는 프로젝트 연차평가(’13.5월예정) 결과에 따라 조정될 수 있음

ㅇ 지원기간 : 23개월 이내 (‘13년 6월 ~ ’15년 4월)

나. 문의 및 제출처 (대경지역사업평가원)

지원분야(프로젝트별) 문의전화 주 소
태양광 053-818-9517 경북 경산시 삼풍로 27
경북TP 글로벌벤처동 4층 2403호
연료전지 053-818-9523
의료기기 053-818-9513
실용로봇 053-818-9515
스마트자동차부품 053-818-9507
스마트모바일 053-818-9518
첨단금속·세라믹소재 053-818-9548
하이테크섬유소재 053-818-9543


[별표]
대경광역경제권 선도산업 육성사업 지원과제
[기술개발과제]

□ 기술개발과제 (R&D_자유공모)

프로젝트명 유망품목 당해연도 총 지원규모
태양광
(장비)
ㅇ 고효율화 장비
ㅇ 저가화 장비
ㅇ 수명연장 장비
ㅇ 생산효율개선 장비
ㅇ 총 8억원 내외
· 과제당 8억원 내외
· 중, 소형과제
연료전지 ㅇ 발전용 연료전지
ㅇ 건물 및 백업용 연료전지
ㅇ 수송용(선박용 포함) 연료전지
ㅇ 수소제조·전환 및 저장시스템
ㅇ 연료전지 관련 부품소재
ㅇ 연료전지 연계 하이브리드용 파워팩
ㅇ 총 6억원 내외
· 과제당 6억원 내외
· 중, 소형과제
의료기기 ㅇ 신체기능회복기기
ㅇ 치료기기
ㅇ 의료영상기기 ㅇ IT헬스케어기기
ㅇ 재활복지기기
ㅇ 총 7억원 내외
· 과제당 4억원 내외
· 중, 소형과제
실용로봇 ㅇ 의료 및 라이프케어로봇
ㅇ 건설지원로봇 ㅇ 로봇핵심부품
ㅇ 농수산지원로봇 ㅇ 재난방재로봇
ㅇ 특수환경지원로봇
ㅇ 총 5억원 내외
· 과제당3억원 내외
· 중, 소형과제
스마트자동차부품 ㅇ 조향/제동제어기기
ㅇ 지능형 센서 모듈
ㅇ 탄소복합 외판경량부품
ㅇ V2X통신시스템
ㅇ 차량용 고휘도 조명
ㅇ 전력효율향상모듈
ㅇ 총 7억원 내외
· 과제당 4억원 이내
· 중, 소형과제
스마트모바일 ㅇ 모바일융합기기
ㅇ 모바일 단말부품/소재
ㅇ 지능형 모바일 융합 부품
ㅇ 차세대 임베디드 솔루션
ㅇ 차세대 방송통신기기
ㅇ 총 7억원 내외
· 과제당 4억원 이내
· 중, 소형과제
첨단금속 세라믹소재 ㅇ신금속 융합소재
ㅇ첨단 세라믹 소재
ㅇ 총 5억원 내외
· 과제당 3억원 이내
· 중, 소형과제
하이테크 섬유소재 ㅇ 안전산업용섬유 ㅇ 산업용섬유소재
ㅇ 고기능성·고성능 섬유
ㅇ 친환경섬유제품
ㅇ 경량복합섬유제품
ㅇ 총 7억원 내외
· 과제당 3억원 이내
· 중, 소형과제

4. 동남광역경제권 선도산업육성사업 지원안내
◎ 사업목적
ㆍ (에너지플랜트) 동남권 풍력부품 및 원전설비산업 기술경쟁력 강화 및 산업생태계 사업 지원을 통한 글로벌 경쟁력 강화
ㆍ (그린화학소재) 동남권 그린화학소재산업 기술개발 및 산업생태계 사업 지원을 통한 글로벌 경쟁력 강화
ㆍ (수송기계산업) 동남권 수송기계산업(친환경 차량부품, 지능형기계부품, 항공부품) 글로벌 허브 구축을 위한 기술혁신체계 지원 강화
ㆍ (조선해양산업) 동남권 그린선박 및 해양플랜트 기자재업체 기술개발 및 산업생태계 사업 지원을 통한 글로벌 경쟁력 강화

가. 기술개발과제(R&D)

□ 지원대상 과제

ㅇ 지원대상 과제는 [별표] "동남 광역경제권 선도산업 육성사업지원과제 ” 목록 참조

□ 지원규모 및 기간

ㅇ 지원규모(‘13년) : 약 55억원
· 프로젝트별 지원규모(과제별 지원액 및 지원과제수)는 프로젝트 연차평가(’13.5월예정) 결과에 따라 조정될 수 있음

ㅇ 지원기간 : 23개월 이내 (‘13년 6월 ~ ’15년 4월)

나. 문의 및 제출처 (동남지역사업평가원)

지원분야 (프로젝트별) 문의전화 주 소
풍력부품 051-629-7581 부산시 남구 용당동 부경대학교
한미르관 4층
원전설비 051-629-7582
화학융합소재 051-629-7596
지능형기계부품 051-629-7693
친환경차량부품 051-629-7691
항공 051-629-7694
해양플랜트 기자재 051-629-7592
그린선박 기자재 051-629-7595

[별표]
동남광역경제권 선도산업 육성사업 지원과제
[기술개발과제]

□ 기술개발과제 (R&D_자유공모)

프로젝트명 유망품목 당해연도 총 지원규모
풍력부품 ㅇ 대용량 풍력발전기 핵심부품
ㅇ 풍력발전기 핵심소재
ㅇ 풍력핵심 부품 인증 및 성능 평가
ㅇ 해상풍력 발전기용 Subsea Structure
ㅇ 총 8억원 내외
· 과제당 6억원 내외
· 중형과제
원전설비 ㅇ 원전용 핵심 BOP 개발(M/E BOP)
ㅇ 방사선 응용 핵심장비
ㅇ 사용후 핵연료봉 보관 및 수송용기
ㅇ 중대사고 및 재해대비 설비
ㅇ 총 6억원 내외
· 중, 소형과제
화학융합소재 ㅇ 2차전지 핵심소재
ㅇ 고기능성 접착소재
ㅇ 구조기능 내외장재 소재
ㅇ 고감성 표면처리 기능제어 소재
ㅇ 총 6억원 내외
· 과제당 4억원 내외
· 중, 소형과제
지능형기계부품 ㅇ 고효율 동력전달 부품
ㅇ 동력발생장치
ㅇ 총 6억원 내외
· 중, 소형과제
* 일반기계분야에 한함
친환경차량부품 ㅇ 엔진 구동 부품 ㅇ 구조 차체 부품
ㅇ 안전 보호 부품
ㅇ 총 6억원 내외
· 과제당 5억원 이내
· 중, 소형과제
항공 ㅇ회전익 항공기 부품
ㅇ 항공기 복합재 구조물
ㅇ 소형 항공기 친환경 추진 장치
ㅇ 항공기 탑재 소프트웨어
ㅇ 총 7억원 내외
· 과제당 5억원 이내
· 중, 소형과제
해양플랜트 ㅇ Topside 프로세싱 시스템
ㅇ 유틸리티 시스템
ㅇ 심해용 부유식 해상풍력 구조물
ㅇ 총 8억원 내외
· 과제당 5억원 이내
· 중, 소형과제
그린선박 기자재 ㅇ 친환경 고효율 추진 시스템
ㅇ 연료전지 기반 선체 및 추진 시스템
ㅇ 스마트 항해통신 시스템
ㅇ 스마트제어계측 시스템
ㅇ 레저용 선박부품·소재
ㅇ 총 8억원 내외
· 과제당 5억원 이내
· 중, 소형과제

5. 강원광역경제권 선도산업육성사업 지원안내
◎ 사업목적
ㆍ (바이오메디컬산업) 바이오메디컬산업 국가거점화 추진
ㆍ (헬스케어산업) 글로벌 건강치유와 휴양의 목적지 구축
ㆍ (기능성신소재산업) 기능성 신소재산업의 신발전거점 구축

가. 기술개발과제(R&D) 및 비R&D과제

□ 지원대상 과제

ㅇ 지원대상은 프로젝트 유망품목 관련 기술개발과제 및 비R&D과제
· 프로젝트별 유망품목은 [별표] “강원광역경제권 선도산업 육성사업 지원과제 ” 목록 참조

□ 지원규모 및 기간

ㅇ 지원규모(‘13년) : 약 24억원
· 프로젝트별 지원규모(과제별 지원액 및 지원과제수)는 프로젝트 연차평가(’13.5월예정) 결과에 따라 조정될 수 있음

ㅇ 지원기간 : 23개월 이내 (‘13년 6월 ~ ’15년 4월)

□ 신청자격 및 조건

ㅇ 주관기관

· 공통지원조건에 준하나, 사업기간내 주된 사업장(본사 또는 공장) 이전 또는 신설을 조건으로 타권역 소재 기업도 주관기관으로 참여 가능함. 단, 1년 이내 구체적인 이전 완료 관련 근거 서류 제시 필수(기술개발과제에 한함, 강원 지역사업평가원 사전문의)

나. 문의 및 제출처 (강원지역사업평가원)

지원분야 (프로젝트별) 문의전화 주 소
의생명바이오 033-248-5683 강원도 춘천시 신북읍 율문리 946번지
(신북로 61-10번지)
(재)강원지역사업평가원
전자의료기기기 033-248-5684
헬스테인먼트 033-248-5687
세라믹비철소재부품 033-248-5683
[별표]
강원광역경제권 선도산업 육성사업 지원과제
[기술개발과제 및 비R&D 과제]

□ 기술개발과제 (R&D_자유공모)

프로젝트명 유망품목 당해연도 총 지원규모
세라믹비철소재부품 ㅇ 전기전자 세라믹스
ㅇ기계구조 세라믹스
ㅇ비철금속 기초소재
ㅇ경량비철금속부품소재
ㅇ 총 6억원 내외
· 과제당 3억원 내외
· 중,소형과제
의생명바이오 ㅇ 천연물유래신약
ㅇ 의료소재
ㅇ 신개념 진단시스템
ㅇ 총 5억원 내외
· 과제당 3억원 내외
· 중,소형과제
전자의료기기 ㅇ 의료영상진단기기
ㅇ 전기식진단기기
ㅇ 조기진단기기
ㅇ 의료기기부품소재
ㅇ 총 6억원 내외
· 과제당 3억원 내외
· 중,소형과제


□ 비R&D 과제(자유공모)

프로젝트명 유망품목 당해연도 총 지원규모
헬스테인먼트 ㅇ 웰니스 리조트
ㅇ 헬스투어
ㅇ 총 7억원 내외
· 과제당 3억원 내외
· 중, 소형과제

6. 제주광역경제권 선도산업육성사업 지원안내
◎ 사업목적
ㆍ (풍력서비스) 풍력서비스산업을 제주의 경쟁력 있는 미래성장동력산업으로 육성
ㆍ (차세대식품융합) 글로벌 신성장산업 육성을 통한 지역경제고도화
ㆍ (MICE) 동북아 최고의 휴양형 MICE 거점도시 육성

가. 기술개발과제(R&D) 및 비R&D과제

□ 지원대상 과제

ㅇ지원대상은 프로젝트 유망품목 관련 기술개발과제 및 비R&D과제
· 프로젝트별 유망품목은 [별표] “제주광역경제권 선도산업 육성사업 지원과제 ” 목록 참조


□ 지원규모 및 기간

ㅇ지원규모(‘13년) : 약 19억원
· 프로젝트별 지원규모(과제별 지원액 및 지원과제수)는 프로젝트 연차평가(’13.5월예정) 결과에 따라 조정될 수 있음

ㆍ지원기간 : 23개월 이내 (‘13년 6월 ~ ’15년 4월)


□ 신청자격 및 조건

ㅇ 주관기관
· 공통지원조건에 준하나, 사업기간내 주된 사업장(본사 또는 공장) 이전 또는 신설을 조건으로 타권역 소재 기업도 주관기관으로 참여 가능함. 단, 1년 이내 구체적인 이전 완료 관련 근거 서류 제시 필수 (기술개발과제에 한함, 제주 지역사업평가원 사전문의)

나. 문의 및 제출처 (제주지역사업평가원)

지원분야 (프로젝트별) 문의전화 주 소
제주형 풍력서비스 064-759-7422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첨단로 213-3
첨단과학기술단지 스마트빌딩 420호

청정헬스푸드

064-759-7423

뷰티향장

064-759-7433
휴양형 MICE산업 064-759-7427

[별표]
제주광역경제권 선도산업 육성사업 지원과제
[기술개발과제 및 비R&D 과제]

□ 기술개발사업 (R&D_자유공모)

프로젝트명 유망품목 당해연도 총 지원규모
제주형 풍력서비스 ㅇ 육해상 풍력단지 설계기술개발
ㅇ 해양 엔지니어링
ㅇ 풍력시스템관련 솔루션 개발 및 서비스
ㅇ 육해상 풍력 발전시스템 운전 및 유지보수
ㅇ 풍력발전기 실증 및 인증(IEC, 기타) 관련 설계, 측정 및 평가
ㅇ 총 6억원 내외
· 과제당 3억원 내외
· 중, 소형과제
청정헬스푸드 ㅇ 고기능 천연 기능성식품 소재 및 제품
ㅇ 건강지향성 식·음료 소재 및 제품
ㅇ 친환경 곡물소재 기반제품
ㅇ 총 5억원 내외
· 과제당 3억원 내외
· 중, 소형과제
뷰티향장 ㅇ 유기농 향장품
ㅇ 기능성 향장품
ㅇ 메디코스메슈티컬스
ㅇ 총 5억원 내외
· 과제당 3억원 내외
· 중, 소형과제

□ 비 R&D 과제 (자유공모)

프로젝트명 유망품목 당해연도 총 지원규모
휴양형 MICE ㅇ 제주 대표 MICE 행사
ㅇ 제주형 LOHAS MICE 상품
ㅇ 융합관광
ㅇ 총 3억원 내외
· 과제당 3억원 내외
· 중,소형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