뛰어난 투자와 기부로 흔히 ‘오마하의 현인’으로 불리는 워렌 버핏(Warren Buffett).
지금 93세가 된 이 투자의 귀재가 세간에 전하는 어록이 많습니다. 한번은 전용기를 10년 몰았던 조종사 마이크 플린트는 자신의 보스가 어떻게 투자마다 성공하는지가 궁금했습니다. 버핏은 그에게 앞으로 이루고 싶은 목표 25가지를 적어보라고 했습니다. 그리고 나자 그 가운데 가장 중요한 5가지만 골라 동그라미를 표시하라고 했습니다.
“나머지 스무 개는 어떻게 할 건가?”
“급한 것부터 하고 나머지는 틈틈이 노력해야지요.”
“아니, 틀렸네. 자네가 동그라미 치지 않은 건 모두 피해야 할 목록(‘avoid at all cost list’)일세. 다섯 개 모두 달성할 때까진 거들떠봐선 안 되네.”
이게 종목 선택에 승부를 거는 투자업계에서 유명한 버핏의 ‘5/25 rule’입니다. 사람들은 최우선의 목표를 실천하는 동안에도 나머지 목표들을 여전히 염두에 둡니다. 가능한 많은 목표를 달성하는 게 현명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버핏의 조언은 선택과 집중입니다.
조직이든 개인이든 가진 자원과 시간은 제한적입니다. 특정한 분야를 선택하고 거기에 자원을 집중시키는 경영전략. 이 ‘선택과 집중’의 개념은 경영학계 석학인 하버드대학의 마이클 포터 교수가 이론화했습니다. 기업이나 국가의 운영뿐 아니라 개인에게도 적용되는 이 투자전략이 새로운 건 아닙니다. 위치를 잘 잡고 한 우물만 파는 전략입니다. 계란을 한 바구니에 담지 않는 포트폴리오 다각화와는 반대쪽 전략입니다. 집중과 분산 어느 쪽이 더 좋을까. 여기에 답은 없습니다. 높은 수익률을 올리려면 위험이 따르더라도 한곳에 집중하고, 안전한 쪽을 더 원하면 투자를 분산하는 게 유리합니다.
대한민국이 스포츠 강국으로 자리매김한 것도 양궁, 태권도, 유도, 펜싱, 사격, 쇼트트랙 등을 선택하고 집중한 결과입니다. 모든 국민이 함께하는 사회체육 대신 엘리트 체육 정책 덕분에 우리는 올림픽 때마다 이들 종목에서 풍성한 메달로 국민의 자긍심을 높입니다. 이 수익률-위험 간의 트레이드 관계는 직업 선택에도 마찬가지입니다. 일상이 늘 빠듯하고 내부 경쟁으로 직업의 안정성이 낮더라도 빠른 승진과 높은 연봉을 원하는 사람에겐 대기업이 좋고, 월급이 적더라도 보장된 정년으로 ‘워라밸’을 추구하는 사람에겐 공무원이나 공기업 쪽이 좋습니다. 월급쟁이보단 자기 사업으로 큰돈을 벌려면 망할 때 망하더라도 벤처 창업하는 게 낫습니다. 기대수익이 높으면 그만큼 위험을 감수해야만 하는 ‘high risk, high return’은 시장경제의 작동원리입니다.
선택은 각자의 몫이지만, 문제는 한정된 자원과 시간입니다. 가치 있는 5가지 목표를 정해 시간과 역량을 집중하는 대신 20가지 포기해야 하는 기회는 기회비용입니다. 기업이 성공하려면 고객의 마음에 자사의 상품을 어떻게 위치시킬 것인지 포지셔닝부터 분명해야 합니다. 여기엔 작은 사업장, 중소기업이라고 해서 불리할 건 없습니다. 감성의 터치로 알짜고객을 확보하는 고급 음식점과 펜션, 명품매장의 차별화전략도 선택과 집중입니다. 이건 항공우주 종합대학으로 특성화된 우리 대학 KAU도 마찬가지입니다. SKY 대학들과 경쟁할 수도 없고 그럴 필요도 없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우리 청년들은 고민이 많습니다. 담임선생님 없는 대학 생활에서 혼돈과 갈등을 겪는 건 온실을 벗어나 허물을 벗겨내는 대학생의 성장통입니다. sophomore의 그리스어 어원처럼 대학 2학년은 ‘지혜로움(sophos)’과 ‘우둔함(moros)’이 교차하는 갈등과 성숙의 시기일 겁니다. 인생행로에서 목표가 뚜렷해지는 단계가 대학입니다. 여러 선택지를 놓고 미래를 설계하고 목표를 선택하는 사유(思惟)의 시간이 지나면, 그때부턴 집중해야 하는 시간이 옵니다. 인생을 건 승부가 시작되면 이것저것 머릿속에 생각이 많은 사람보다는 생각이 단순한 사람이 성공합니다. 표적이 명료해야 집중이 쉽기 때문입니다. 아래 링크는 지난 5월 우리 대학의 차별화전략에 대해 한국대학신문과 인터뷰한 내용입니다.
<총장의 메시지>
-[총장의 메시지_26] 한국항공대역 탄생을 자축합니다!